PART 04. 접사 촬영
우리는 인물사진이나 풍경 사진처럼 눈에 쉽게 보이는 세상을 담는 것에 익숙해지면 독특한 세상을 보고 싶어 합니다. 작은 세상을 가깝게 들여다보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고 눈으로 느끼지 못하던 새로운 시각이 경이로움으로 와닿습니다. 멋진 세계를 색채가 산 독특한 기법으로 담아내는 것이 접사입니다.
접사란 다양한 피사체를 최대한 근접하여 매크로(Macro) 렌즈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촬영하는 방법으로써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삼각대나 릴리즈를 연결하여 촬영합니다. 촬영 소재로는 꽃, 식물, 과일, 곤충 등이 대표적이며 물방울, 생필품 등 기타 정물 촬영에 적합한 촬영 방법입니다.
01. 접사에 필요한 장비
접사는 초정밀을 요구하는 촬영이므로 일반 사진 촬영과 달리 접사에서는 여러 장비들이 복합적으로 사용됩니다. 접사 촬영에 적합한 매크로 렌즈를 사용하고 근접한 촬영임을 감안하여 흔들림 없이 선명한 결과물이 나타나도록 촬영해야 합니다. 주위의 배경과 독특한 화면의 구성을 위해 몇 가지 장비와 부속품을 휴대해야 합니다.
1) 렌즈
매크로 렌즈는 접사 촬영에 기본이 되는 장비입니다. 우리는 가까운 것을 들여다보기 위해서 돋보기와 같은 부속물을 이용합니다. 렌즈도 일정 거리 이상을 유지해야 초점이 맞게 됩니다. 일반렌즈는 무한대 거리에 초점을 맞출 경우 가장 선명하게 나오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근접한 거리에 있는 물체를 찍을 때 수차가 가장 적도록 설계된 렌즈가 매크로 렌즈입니다. 매크로 렌즈가 접사용만은 아니고 일반 사진 촬영도 가능합니다.
* Tip. 매크로 렌즈(Macro Lens)란?
- 마이크로렌즈라고도 하고 접사용 및 확대 촬영용으로 설계된 렌즈입니다. 화상배율의 2/1 또는 1/1 그 이상의 촬영이 가능하며 화상 배율 2/1의 렌즈는 전용 중간 링을 사용해서 등배까지의 촬영이 가능합니다. 리버스 링과 벨로즈를 이용하면 확대촬영도 할 수 있습니다. - TTL 노출계가 없는 카메라에서는 자동으로 조리개 수치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용이 어렵습니다. 일반렌즈와는 달리 렌즈의 구성이 역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일반렌즈는 무한대를 기준으로 설계되어 촬영거리가 집점 거리의 10배보다 가깝게 접사를 하게 되면 수차의 영향으로 화질이 저하되거나 초점을 맞출 수 없게 됩니다. 이러한 결점을 보강하기 위해서 화상 배율 10/1 정도를 기준으로 접사나 확대 촬영에서 샤프한 화상 결성을 얻을 수 있게 만들어진 것입니다. - 50mm, 60mm, 90mm, 100mm, 105mm, 200mm 등의 렌즈가 있으며 대부분이 대칭형의 렌즈 구성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
2) 접사 링 (Close-up Ring)
렌즈와 카메라의 바디 사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접사 링은 매크로 렌즈가 아니더라도 표준렌즈나 장초점 렌즈를 이용하여 접사를 가능하게 해 줍니다. 일반적으로 두께가 서로 다른 3개의 링이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요한 배율에 따라 세 가지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접사 필터 (Close-up Filter)
접사 필터는 접사에 사용되는 장비 중에 가장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액세서리로서 렌즈 앞부분에 장착하여 사용합니다. 접사 링과 마찬가지로 3개의 세트로 구성되어 간단하게 접사 효과를 가능하게 하지만 주변부의 왜곡이 심하며 선명도의 저하로 인해 정밀하고 선명한 사진을 위한 촬영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왜곡이란?
화면의 가장자리의 상이 렌즈의 구면수차에 의해 휘어져 보이는 현상을 왜곡이라 합니다. 피사체에 근접하거나 광각이나 초광각, 어안렌즈, 접사 필터 등을 사용했을 때 왜곡 현상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02. 액세서리
접사 촬영은 흔들림 없는 정밀한 촬영과 신선하고 깨끗한 색을 만들어 내는 것에 목적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준비해야 할 액세서리가 있습니다.
1) 삼각대 & 릴리즈
접사 촬영에서 삼각대와 릴리즈 사용은 필수입니다. 야외의 적당한 광선이 있는 곳에서는 셔터스피드를 1/250s 이상으로 높여주면 흔들림 없는 사진 촬영이 가능하겠지만 실내처럼 광선이 희박한 곳에서는 셔터스피드를 올려주기 어려우므로 노출이 부족한 사진이 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삼각대를 이용하여 바디를 고정하고 릴리즈를 이용하여 미세한 셔터의 움직임에 의한 흔들림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삼각대를 사용하면 촬영자가 의도한 포인트에 정확하게 초점이 맞은 선명한 사진으로 표현됩니다.
2) 배경판 & 바람막이
배경판은 촬영에 꼭 필요한 액세서리는 아니지만 깨끗하고 멋진 촬영을 위해 준비하면 좋습니다. 배경판은 되도록 검은색 계통의 어두운 색이 좋습니다. 어두운 색은 꽃의 원색을 더욱 돋보이게 하기 때문입니다.
바람막이의 준비는 화원이니 식물원 같은 실내에서의 촬영이라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야외와 같이 개방된 공간이나 야생화와 같은 촬영에는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흔들린 사진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막이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분무기
물방울이 없는 사진은 그저 평범한 꽃 사진일 뿐이지만, 물방울이 꽃잎에 맺힌 사진은 색감을 더욱 진하게 표현할 뿐 아니라 청초하고 맑은 느낌을 들게 함으로써 꽃이 더욱 예쁘게 보이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분무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꽃의 색감을 더욱 진하게 하고 물방울을 만들어줌으로써 꽃의 매력인 아름다운 색과 신선함을 표현하기 위해서입니다.
촬영자의 취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분무기를 사용한다는 것은 인위적인 표현이라고 할 수 있지만 결과물에서는 많은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꽃 사진 접사에는 분무기로 물방울 만들어 주는 것도 좋은 촬영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출처] 좋은 사진을 만드는 노출, 정승익, 한빛미디어㈜
'공부! 사진촬영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접사 3탄, 접사촬영을 위한 노출설정도 알아보자! (0) | 2022.05.27 |
---|---|
21. 접사 2탄, 적절한 화면구성은 어떻게 설정할까 (0) | 2022.05.26 |
19. 생동감을 살리는 촬영기법과 실내 정물사진 촬영방법 (0) | 2022.05.24 |
18. 풍경 사진 촬영 6탄, 야경사진을 찍어보자! (0) | 2022.05.23 |
17. 풍경 사진 촬영 5탄, 일출과 일몰 촬영하는 방법 (0) | 2022.05.22 |
댓글